파이썬 강의 노트 - 리스트 LIST
리스트
리스트는 [ ] 로 둘러싸인 변수를 의미하는데,
파이썬에서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 구조이며,
여러 변수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컨테이너라고 불립니다.
list = [2, 1.2, 'string', True]
리스트는 여러가지 변수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.
리스트의 특징 중에 하나는 인덱싱이라는 기능입니다.
리스트에 있는 변수 중에 하나를 선택해서 가져올 때
>>> list[0]
2
첫 번째 있는 변수를 불러오려면 1이 아닌 0을 넣어야 합니다.
0부터 시작하는 인덱스 방법은 대다수의 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합니다.
>>> list[-1]
True
반면에, 뒤에서부터 순서를 세는 경우에는 -를 붙이지만 -0을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.
제일 마지막에 있는 변수를 불러오려면 -0이 아닌 -1을 사용해야 합니다.
슬라이싱
리스트에서 하나의 변수가 아닌 연속된 변수를 일부만 추출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>>> list = [2, 1.2, 'string', True]
>>> list[1:3]
[1.2, 'string']
슬라이싱은 인덱싱 시작값은 포함하되 끝나는 인덱싱 값은 포함하지 않습니다.
구간이 독특합니다.
그래서 [1:3]인 경우엔 첫번째 콤마부터 세번째 콤마 사이에 있는 값을 가져온다고
생각하면 편합니다.
가변성 MUTABILITY
문자열과 리스트의 가장 큰 차이는 변수를 생성한 이후에 값을 수정할 수 있는지 여부에 있습니다.
문자열은 변수를 한 번 생성한 이후에 문자열 안에 있는 값을 지정해서 수정할 수 없지만,
리스트는 변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.
문자열과 리스트는 또 다른 차이가 있습니다.
문자열은 변수들의 값을 변경해도 다른 변수에 지정해두었던 값이 변하지 않습니다.
리스트는 변수들의 값을 변경하면 연결된 변수 또한 값이 변합니다.
리스트를 위한 유용한 함수
- len() 리스트의 변수 개수의 값을 구합니다.
- max() 리스트의 변수 중 가장 큰 값을 구합니다. 문자열의 경우 첫 글자가 알파벳 순서에서 가장 뒤에 있는 변수를 가져옵니다.
- min() max함수의 반대입니다.
- sorted() 변수의 순서를 정렬합니다.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정리합니다. 반대로 하려면 옵션에 reverse=True 를 추가해주시면 됩니다.
Comments
Post a Comment